[JSP] 11.1 데이터베이스 기초
2022. 4. 19. 00:35ㆍJAVA/Servlet&JSP
1. 데이터베이스와 DBMS
- 데이터베이스의 목적은 데이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때 사용하는 것
- DBMS(Database Management System)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오라클, MS SQL, MySQL이 있음
DBMS의 기능
- 데이터의 추가/조회/변경/삭제
-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
- 트랜잭션 관리
- 데이터의 백업 및 복원
- 데이터의 보안
2. 테이블과 레코드
테이블이란 무엇인가?
- RDBMS에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장소
- 테이블은 어떤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의 길이는 최대 몇 글자인지 정보를 포함함
- 테이블의 구조와 관련된 정보를 테이블 스키마(Schema)라고 부름
테이블의 구조
- 필드, 필드의 타입, 필드의 길이
- 필드의 모음을 레코드라고 부름, 예를 들어 MEMBERID, PASSWORD, NAME, EMAIL의 필드 모음을 레코드라고 부를 수 있음
필드 이름 | 필드 타입 | 길이 |
MEMBERID | VARCHAR | 10 |
PASSWORD | VARCHAR | 10 |
NAME | VARCHAR | 20 |
VARCHAR | 80 |
3. 주요키(Primary Key)와 인덱스(Index)
주요키란 무엇인가?
- 각각의 레코드를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필드, 예를 들어 회원 아이디(MEMBERID)는 서로 다른 값을 가져야 하므로 주요키로 삼을 수 있음
인덱스란 무엇인가?
-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필드를 사용히여 레코드를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미리 정리된 표를 만들어 두는 것을 인덱스라고 부름
- 인덱스는 데이터의 순서를 미리 정렬해서 저장함
- 예를 들어 도서관은 보통 책의 이름에 따라서 책의 위치를 정리해 놓습니다. 따라서 책의 이름만으로 쉽게 책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습니다.
4.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의 일반적 순서
DBMS의 사용 순서
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의 4가지 과정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인 JDBC 프로그래밍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5.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의 필수 요소
- DBMS :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는 시스템
- 데이터베이스 :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
- DBMS 클라이언트 :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
References
JSP 2.0 프로그래밍 기초부터 중급까지
'JAVA > Servlet&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P] 11.3 SQL 쿼리 기초 (0) | 2022.04.19 |
---|---|
[JSP] 11.2 오라클 PDB 서버에 접속하기 (0) | 2022.04.19 |
[JSP] 10. JSP에서 자바빈 활용하기 (0) | 2022.04.12 |
[JSP] 9.4 세션 사용하기: session 기본 객체 (0) | 2022.04.11 |
[JSP] 9.1 쿠키 사용하기 (0) | 2022.04.11 |